청년이신가요?적금 계획도 있나요?직장초년생이면 지금 당장 청년도약계좌로 5년 후를 준비하세요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을 알아보고 계좌신청 후 비과세 혜택과 조건 해당 시 매월 2만 4천 원 이자 챙기는 법 안내합니다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
정부의 청년들을 위한 중장기 자금 모으기 권장 및 지원사업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자
[목차여기]
청년도약계좌
23년 6월 출시 상품으로 청년에게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까지 주어 5년 만기 적금상품이다 최대 월 70만 원씩 5년간 납입하면 5천만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상품으로 소개한다 본인 납입금에 납입한 금액에 비례한 정부 기여금 지원 추가 이자소득은 비과세 혜택을 받아 5년 만기 시 원금 4200만 원+800만 원(비과세+정부기여금)=5000만 원 이 되는 상품이다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
가입 조건에는 연령과 소득조건이 있습니다
만 나이계산하기
연령조건 만 19~34세 청년 2023년 기준 2003년생~ 1988년생까지 가능 ※병역이행 최대 6년까지 연령계산 제외
소득기준 직전 과세기간(22.1~12월) 급여액 7,500만 원(종합소득 6,300만 원) 이하
※홈텍스> 국세증명. 사업자등록 세금 관련 신청/신고> 소득호가인증명서(청년도약계좌 가입 및 과세특례 신청용) ▶ 무소득자 신청불가 ▶ 금융소득종합과세 미대상자 직전 3개년 모두 금융소득종합과세(이자소득, 배당소득의 합이 2만 원 초과) 경우 신청불가 ▶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
가구원 수
1인 가구
2인 가구
3인 가구
4인 가구
월 소득 2023년
374만 206원
622만 1,079원
798만 2,669원
972만 1,735원
월 소득 2024년
401만1,201원
662만 8,696원
848만 6,383원
1031만 3,843원
청년도약계좌 내용
소득과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기여금은 상이하다 금액 24,000원~21,000원입니다
연 급여가 7,000만 원 일경우 적금 이자에 대한 비과세 혜택만 받고 정부기여금 지원불가
개인소득 기준
정부 기여금
지급한도
매칭비율
한도
총 급여 2,400만 원 ↓
40만 원
6.0%
2,4 만원
총 급여 3,600만 원 ↓
50만원
4.6%
2,3 만원
총 급여 4,800만 원 ↓
60만원
3.7%
2,2 만원
총 급여 6,000만 원 ↓
70만원
3.0%
2,1 만원
총 급여 7,500만 원 ↓
비과세 혜택만
정부기여금 지급한도에 맞춰 납입하는 경우
개인소득
본인 납입금
납입 총액
기여금(5년)
이자 금리 6%
만기 수령금
2400만 원
400,000
24,000,000
1,440,000
3,879,600
29,319,600
3,600만 원
500,000
30,000,000
1,380,000
4,785,450
36,165,450
4,800만 원
600,000
36,000,000
1,320,000
5,691,300
43,011,300
6,000만 원
700,000
42,000,000
1,260,000
6,597,150
49,857,150
7,000만 원
700,000
42,000,000
6,405,000
48,405,000
청년도약계좌 금리
취급기관 자율경정(3년 고정, 2년 변동)
우대금리 포함 최대 6%이다 아래 해당 사이트에서 우대금리 세부항목 비교표도 볼 수 있습니다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과 가입기간을 확인해 보았다. 적금을 통해 시드머니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적금은 좋은 저축습관을 만든다 좋은 습관은 미래지향적이고 투자를 위해 준비하는 청년이 되어가는 첫걸음이다 더욱 히 정부에서 지원하고 있으니 이번 기회에 마음먹고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고 정말 5년 후 원하는 목적에 맞는 목돈을 모으는 해가 되길 기원합니다